2025-26 하버드·예일·프린스턴 보충문항을 공식 문항 기준으로 비교. 학교별 핵심 키워드·톤·전략을 표와 템플릿으로 한 번에 정리.
🧭 한눈에 보는 비교표 (2025-26)
항목 | 하버드 | 예일 | 프린스턴 |
필수 보충문항 구조 | 단답형 5문항(각 150자) 중심. 다양성, 갈등 소통, 활동·가정책임, 진로 포부, 룸메이트에게 알리고 싶은 3가지 | Short Answer + 초단문(각 200자/200자/125자·200자 이내) + 선택 에세이(≤400자) | 학위 트랙별 학업질문(AB/BSE, 250자) + Your Voice(최대 500자) + 봉사·시민성(250자) + 50자 초단답 3개 |
초점 키워드 | 기여(contribution), 관점 다양성, 갈등 대화능력, 실천계획, 생활성격 | 지적호기심, 학문적 열정, Yale fit, 압축적 자기표현 | 학업 적합·전공성, 시민성/공공성, 목소리·경청, 내 삶의 교훈, 정밀한 글쓰기(GWP) |
추가 요구 | — | — | Graded Written Paper(평가받은 수업 글) 제출 필수 |
공식 근거 | 하버드 Application Requirements에 5문항 전문 명시. | Yale Essay Topics에 2025-26 문항·분량 공개. | Princeton-specific Questions(문항) + Graded Written Paper(요건) 명시. |
🎯 학교별 “핵심 키워드 맵”과 전략
Harvard: 150자×5의 ‘정밀 압축’ — 기여·갈등소통·실천·생활감
하버드는 **5개의 필수 단답(각 150단어)**로, “당신은 누구이고 Harvard에 무엇을 가져오는가”를 빠짐없이 보여 달라고 요청합니다. 다섯 문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양한 관점·경험을 어떻게 공동체 기여로 연결할지
- 강한 의견 충돌을 어떻게 소통·성찰로 풀었는지
- 활동·일·여행·가정책임 등 삶의 맥락이 정체성에 미친 영향
- Harvard 학업→미래 사용 계획(임팩트 로드맵)
- 룸메이트에게 알리고 싶은 3가지(생활성격·경청지점·경계선)
(공식 페이지에 5문항 전문 및 분량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키워드 채우기 팁
- ① Contribute/Build: 동아리 창설·연구 조교·지역문제 해결 등 “합류가 아닌 ‘기여’”의 언어.
- ② Disagree→Dialogue: 갈등 서사에선 상대의 논리 요약→경청→공존 해법.
- ③ Context is you: 가사노동·돌봄책임 같은 비정형 경험도 정체성 자산으로.
- ④ Use your Harvard: 수업·랩·센터·프로그램 구체명 → 사회문제 적용까지.
- ⑤ Roommate 3: 성격·습관·경계(quiet hours 등) + 배려 규칙 1가지.
구성 공식(각 150단어): 결론 먼저(키워드 선언) → 1문장 사례 → 행동·결과 → “Harvard에서의 확장”.
불필요한 수식어는 과감히 컷.
Yale: 지적 호기심 + Yale 적합성 + 초단문 센스
Yale은 학문적 흥분(what excites you), Yale과의 핏(125단어), 그리고 **초단문 4개(각 200자 내 약 35단어)**로 지성·감수성·개성을 입체적으로 봅니다. 추가로 **선택 에세이(≤400단어)**에서 논쟁·공동체·경험의 의미화를 요구합니다.
키워드 채우기 팁
- Topic that excites you(200): 연구 질문 형태(“왜/그래서 무엇”)로 쓰면 강함.
- 왜 Yale(125): 단순 “네임드 수업 목록” 나열 금지. 전통(Residential Colleges)·연구문화·교수·랩·도시 New Haven 맥락과 내 공부법의 접점 2가지.
- 초단문 네 묶음(각 200자/35단어 안팎): What inspires you / If you could teach… / Influence / Something not elsewhere. 메타포 1개 + 구체 1개로 리듬 만들기.
- 선택 400: 세 프롬프트 모두 관계 속 성찰이 핵심. “입장 변화/경청/공동의 의미”를 사건→대화→배운 점 구조로.
구성 공식: (짧은 문항) 이미지 1컷 → 명료한 결론 1문장. (400) 대화 재현 2~3줄로 몰입도, 마지막 문장에 공동체 기여 약속.
Princeton: 전공성 + 시민성 + 목소리(Your Voice) + GWP
프린스턴은 **전공 적합성(AB/BSE 분기)**과 시민성/공공성을 강하게 찾습니다. 특히 **Your Voice(≤500)**는 “관점이 다른 사람들과 존중을 전제로 대화하는 법”을 서사로 보여 주는 문항. 여기에 **Graded Written Paper(평가된 수업 글)**을 반드시 내야 하므로, 문장력·논증력도 엄격히 봅니다.
키워드 채우기 팁
- AB/BSE 250: “전공 좋아요”가 아니라 과목·과제·논문·프로젝트의 ‘방법론’ 언어로. (예: 실험 설계, 텍스트 주해, 모델링)
- Your Voice 500: 경청·반문·재구성이 보이는 대화 장면 1개 + **교훈(lesson learned)**을 공동체 장면으로 확장.
- Service 250: 동아리·봉사 ‘나열’ X → 문제정의→성과지표→한계·다음 실험.
- 50자×3: 새 기술·기쁨·삶 사운드트랙—“너무 예쁜 문장”보다 아이디어 자체의 신선함.
- GWP: 최근 1~2쪽짜리 논설·사설·사적 에세이 아닌 학업 글 + 교사 평·채점 포함. 문장 다듬기보다 논증의 맥락·근거·전개를 점검.
✍️ 공통·차이 키워드 핵심만 콕
- 공통: 관계 속 나 (갈등→대화→성장), 학문적 호기심, 공동체에의 기여.
- Harvard만의 색: 5단문=다면 스냅샷. “기여·실천 계획·생활감(룸메이트 3)”이 눈에 띔.
- Yale만의 색: 지적 ‘흥분’의 결 + 초단문 35단어급 센스 + 선택 400에서 의미화.
- Princeton만의 색: 전공의 언어 + 시민성/공공성 + GWP로 검증되는 필력.
🧪 키워드 뽑는 법: 10분 워크시트
- 문항 키워드 해석
- Harvard #Diversity #Disagreement #Context #FutureUse #Roommate
- Yale #IntellectualExcitement #YaleFit #MicroAnswers #Dialogue/Community(400)
- Princeton #AcademicFit #YourVoice #CivicEngagement #Micro50 #GWP
- 내 사례 매핑(각 1줄)
- 갈등 대화 / 실패→피드백 / 봉사에서 바꾼 지표 / 연구질문·데이터 / 생활습관·경계
- 언어 톤 선택
- Harvard: 또렷·압축 / Yale: 호기심·명료 / Princeton: 논증·공공성
🧰 학교별 미니 템플릿
Harvard(150단어 예시 골격)
- 첫문장=키워드 선언: “서로 다른 관점이 공존하는 공간에서, 저는 ___로 기여해 왔습니다.”
- 사례 1문장 → 행동/결과 1문장 → Harvard 확장 1문장
- 마감: “이 경험은 [수업/센터/프로그램]과 연결되어 ___를 실행하는 기반이 됩니다.”
Yale(125/200/400 골격)
- 200(흥분 주제): “제가 매혹된 질문은 ___입니다. 왜냐하면 ___이(가) ___를 바꾸기 때문입니다.”
- 125(왜 Yale): “Yale의 ___(자원)과 제 ___(학습방식)이 만날 때 ___를 실험할 수 있습니다.”
- 400(대화/공동체): “상대의 주장을 재진술 → 제 논점 제시 → 공존 해법 → 배운 점(공동체 기여).”
Princeton(250/500/250/50 골격)
- 학업 250: “___라는 방법론으로 ___를 탐구해 왔고, Princeton의 ___(연구/과정)에서 ___를 확장하겠습니다.”
- Your Voice 500: “대화 장면 묘사 → 경청/반문 → 합의·불일치 동시에 기록 → 내가 배운 ‘대화의 규칙’.”
- 봉사 250: “문제정의→액션→성과(숫자/지표)→한계→다음 실험.”
- 50자×3: “한 문장 하나의 아이디어.” + GWP 체크리스트(최근·평가표시·논설문).
🙅🏻♀️ 자주 하는 실수 vs 대체 문장
- 학교명 나열·수업 쇼핑 → 내 학습법·연구질문과 자원 연결
- 갈등 서사=승부 기록 → 경청·재구성·배운 규칙
- 공허한 미학적 문장 → 명사·동사 중심의 구체(데이터·역할·지표)
✅ 체크리스트
- 질문에 1:1로 답했는가? (키워드 표시)
- 하나의 문단=하나의 메시지(특히 Harvard 150단어)
- 학교 자원 2개 이내, 맥락 연결(Yale/Princeton)
- 대화 장면 ‘인용’ 1~2줄로 생동감(Yale 400/Princeton 500)
- GWP 규정 충족(과목·평가 표시 포함)
🔗 공식 참고
📌 결론 요약
- Harvard는 기여·갈등 소통·실천계획·생활감을 150단어 정밀압축으로 본다.
- Yale은 지적 흥분 + Yale fit + 초단문 센스 + 400 성찰로 지성의 결을 체크한다.
- Princeton은 전공성·시민성·목소리를 깊게 보고, GWP로 문장력·논증력을 검증한다.
이 차이에 맞춰 같은 경험이라도 키워드·톤·구성을 과감히 바꾸는 것이 합격자 글의 공통 패턴이었습니다.
출처
- Harvard Application Requirements(5문항·분량). (Harvard College)
- Yale Essay Topics 2025-26(질문·분량). (예일대학교 입학처)
- Princeton-specific Questions 2025-26(학위별·문항 구조). (admission.princeton.edu)
- Princeton Graded Written Paper(제출 가이드·요건). (admission.princeton.edu)
업데이트가 잦은 파트(세부 문항 표현·단어 수)는 매 시즌 공식 페이지를 재확인하세요.
위 링크는 현재(2025-08-29, KST) 기준 최신입니다.
'글로벌 대학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세계 명문대 영어 점수 비교 – TOEFL·IELTS 최소점수 표 (옥스퍼드·케임브리지·MIT·토론토·멜번 등) (2) | 2025.08.29 |
---|---|
한국 학생이 자주 실패하는 에세이 주제 TOP5 – 피해야 할 소재 (1) | 2025.08.29 |
고등학생 해외 유학 준비 체크리스트 10가지 – 지금부터 해야 할 일 (2025 최신) (5) | 2025.08.27 |
2025 미국 명문대 합격 에세이 실제 예시 – Common App 최신 트렌드 (1) | 2025.08.27 |
2026 해외 유학 총비용 계산법 – 학비·기숙사·생활비 완벽 정리 (1)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