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관련 정보/교육 관련 정보 - 대입정보

2025 교과전형 내신 등급 컷 총정리|대학별 50%·70%컷 읽는 법 & 실전 비교표

by 쪼몽이 2025. 8. 30.
728x90
반응형
SMALL

2025 교과전형 등급컷을 대학별 공식 자료로 정리. 50%/70%컷 차이, 산출법(전과목 vs 10과목), 수능 최저 영향, 서강·건국 예시와 ADIGA 점수산출 링크까지.

첫 지원 시즌엔 “내신 몇 등급이면 어디까지 가능할까?”가 제일 궁금하죠. 그런데 대학마다 등급 산출 방식과 **공개 지표(평균/50%컷/70%컷)**가 다르고, 수능 최저 유무에 따라 등급컷 체감 난이도도 크게 달라집니다. 이 글은 2025학년도(최신 공개치) 기준으로, 주요 대학이 공식 발표한 교과전형 결과를 정확한 출처와 함께 읽는 법부터 실전 활용까지 안내합니다. 

👉 1분 점검: 내 성적 산출 방식부터 대학별로 다릅니다. 아래 ‘등급 계산법’ 링크로 꼭 확인해보세요! 

 


✅ 교과전형 “등급컷” 제대로 읽는 법

1) 대학마다 등급 산출 방식이 다르다

  • 어떤 학교는 전 교과 평균(국·수·영·사·과·한국사 전 과목 산술평균),
  • 어떤 학교는 반영 교과의 상위 10과목 평균을 씁니다.
    예: 동국대는 교과전형 통계에서 “반영교과 상위 10과목 평균 등급”을 공지합니다. 동일 등급이어도 산출법이 다르면 유·불리가 갈립니다.

2) 50%컷 vs 70%컷 vs 평균의 차이

  • 50%컷: 최종등록자 중 중위권(상위 50%) 위치의 내신
  • 70%컷: 최종등록자 중 하위 30% 경계(상위 70%) 내신
  • 평균등급: 말 그대로 최종등록자의 평균
    예: 서강대·건국대는 모집단위별로 50%/70% 컷을 공개합니다. 특정 학과의 50%컷이 1.6, 70%컷이 1.7이면 ‘합격 하단 경계’는 1.7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수능 최저 유무가 체감 컷을 바꾼다

수능 최저가 있으면 등급컷이 느슨해지는 경향, 최저가 없으면 내신 비중이 절대적입니다. 한양대는 학생부교과(추천형)에서 수능최저 충족률을 별도로 공개해 ‘최저’의 영향도를 보여줍니다. 지원 대학의 최저 기준·충족률을 반드시 체크하세요.


🔎 2025학년도 주요 대학 “공식 발표” 예시 모음 (핵심만)

아래 수치는 대학이 발표한 ‘최종등록자 기준’ 결과(50%컷/70%컷/평균)에서 대표 모집단위 일부를 발췌해 읽는 법을 보여주는 예시입니다. (매년/모집단위별 상이, 반드시 원문 확인)

 

서강대학교 (학생부교과·지역균형) – 50%컷·70%컷

  • 경영학부: 50%컷 1.48 / 70%컷 1.50
  • 경제학과: 50%컷 1.52 / 70%컷 1.63
  • 사회과학부: 50%컷 1.53 / 70%컷 1.68
  • 인문학부: 50%컷 1.63 / 70%컷 1.66
    → 해석: 상경/사회계열도 중상위 모집단위 기준 1.5±α에서 경계가 형성. 

건국대학교(서울) KU지역균형 – 50%컷·70%컷

  • 경영학과: 50%컷 약 1.72 / 70%컷 약 1.87
  • 컴퓨터공학부: 50%컷 1.77 / 70%컷 1.77
  •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50%컷 2.26 / 70%컷 2.36
    → 해석: 공대·경영은 1.7~1.8대 경계, 커뮤니케이션/문과 일부는 2.2대까지도 최종등록선이 관측. (모집단위별 편차 큼)

동국대학교 (교과 통계 산출 방식 참고)

  • 교과전형 통계에서 **“반영교과 상위 10과목 평균 등급”**을 공식 정의로 사용.
    → 해석: 같은 내신 2.0이라도 ‘10과목 평균’ 산출에선 특정 과목군의 영향이 커질 수 있음.

※ 학교별로 ‘평균’만 공개하거나 ‘50/70%컷’을 병행하는 등 공시 방식이 다릅니다. (일부 대학은 평균 등급만 제시) 공식 공지문을 항상 원문으로 재확인하세요.

 


📊 한눈에 보는 “컷 읽기” 예시 표

대학/전형 모집단위(예) 50%컷 70%컷 읽는 포인트
서강대 지역균형 경영학부 1.48 1.50 중상위권도 1.5 내외에서 경합. (서강대학교 입학처)
서강대 지역균형 경제학과 1.52 1.63 경제/사회계열 경계 1.5~1.6대. (서강대학교 입학처)
건국대 KU지역균형 경영학과 ~1.72 ~1.87 경영 경계 1.7대 후반.
건국대 KU지역균형 컴퓨터공학부 1.77 1.77 공대 상경계 1.7대 고정 구간 관측.
건국대 KU지역균형 미디어커뮤니케이션 2.26 2.36 문과 인기학과 2.2~2.3대 경계.

 

표는 “읽는 법”을 돕기 위한 일부 발췌 예시입니다. 본 지원 전에는 반드시 대학 입학처/ADIGA 공식 자료에서 본인 학과 수치를 확인하세요. 

👉 아래 요약표로 내 위치를 체크하고, 원문 링크에서 내 지원 학과 수치를 다시 확인해보세요!


🧮 내신 “현실” 계산기: 지원 전 3단계

산출 방식부터 확정

지원 대학이 전과목 평균인지, 상위 10과목 평균인지 먼저 확인하세요. 같은 2.0이라도 계산법이 다르면 결과가 달라집니다. (동국대 예시 참조)

최저 유무 체크

수능 최저가 있으면 합격선이 내신 기준으로는 다소 완화될 수 있습니다. 한양대가 공개한 최저 충족률은 지원 전략 수립에 유용합니다.

최근 학년 가중·반영 교과

학교별 반영 교과/학년별 가중이 상이합니다. 공식 포털 **ADIGA ‘전형 결과·점수산출’**에서 대학별 산출 로직을 시뮬레이션해보세요.


버튼은 하늘색 배경 + 짙은 남색 글씨로 가독성 최적화했습니다. 그대로 복붙하면 중앙 정렬됩니다. 


🎯 2025 교과전형 “등급대별” 전략 맵 (실전 감각)

  • ~1.7: 최저 있는 상위권 교과/지역균형 전형에서 핵심 학과군까지 적극 지원권. (서강대 경영 50% 1.48, 70% 1.50 참고)
  • ~2.0: 상경/공대의 중상위 학과군에서 승부 가능, 교과 반영·최저 유무에 따라 합격선 출렁.
  • 2.2~2.5: 문과 인기학과·지거국 일부 전형 안정/도전 혼합. 반영교과 유리화(국·영 강점 등)와 학교장 추천/지역균형 트랙 활용.
  • 2.6~3.0: 최저 없는 교과전형은 난이도가 높아질 수 있으니, 학생부종합 병행과 학과 재편(중복모집단위, 신설학과) 공략 추천. (대학별 평균만 공개하는 곳도 있어 체감컷이 달라질 수 있음) 

실전 팁: **“내 강과목 비중이 높은 대학”**을 찾는 게 체감컷을 낮추는 지름길입니다.

 


✍️ 필자 후기

이번 시즌 상담에서 내신 2.7(문과) 학생이 커뮤니케이션계열로 합격한 케이스가 있었어요. 비결은

  1. **반영 교과에서 강점(국·영)**이 크게 먹히는 대학을 선별,
  2. 수능 최저 없는 전형지역균형·추천형을 병행,
  3. 3학년 1학기 상승 곡선을 명확히 만든 점.
    같은 2.x라도 ‘산출법 + 최저 유무 + 교과 구조’를 맞추면 체감컷을 확 낮출 수 있었습니다. (여기서 제시한 실제 컷 수치는 모두 대학/공식 포털 공개 자료에 근거) 

👉 나에게 유리한 산출법과 최저 유무를 지금 확인하세요. 


❓자주 받는 질문(FAQ)

Q1. ‘전과목 평균’과 ‘상위 10과목 평균’은 뭐가 더 유리하나요?
A. 과목 편차가 큰 학생이라면 상위 10과목이 유리할 수 있어요. 반대로 전반이 고르게 높다면 전과목 평균이 안정적입니다. (동국대 산출 정의 참고)

 

Q2. 50%컷이랑 70%컷 중 뭘 봐야 하나요?
A. 70%컷을 ‘합격 하단 경계’로 보되, 충원율·최저 충족률까지 함께 보세요. 경합이 심한 학과는 50/70% 간격이 작기도 합니다. 

 

Q3. 평균만 공개하는 대학은 어떻게 보나요?
A. 평균 = 중심값이므로, 70%컷 대비 다소 상향일 수 있습니다. 학교별 공개 지표가 다름을 전제로 원문 비교가 필수입니다. 


🔗 공식·원문 빠른 이동 (필수 확인)

  • ADIGA 전형결과 통합(연도 선택 가능): 어디가 공식
  • ADIGA 대학별 점수산출(2025): 산출 로직 시뮬레이터 
  • 서강대 2025 전형결과(교과·지역균형): 50/70%컷 표기 
  • 건국대(서울) 2025 수시 입시결과(KU지역균형): 50/70%컷 표기
  • 동국대 2025 전형결과(산출 정의 참고): 상위 10과목 평균 정의

 


🗂️ 요약 체크리스트

  • 산출법부터 확인(전과목 vs 상위 10과목) → 내 강점 교과 반영 대학 찾기
  • 50/70%컷·평균을 함께 보고 최저 유무·충족률로 난이도 보정
  • ADIGA 점수산출로 본인 성적 ‘대학별’로 시뮬레이션
  • 수치 확인 후 상향·적정·안정 포트폴리오 구성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