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장려금 2025년 소득기준·재산기준을 가구 유형별로 정리했습니다. 맞벌이·홑벌이 차이와 최대 지급액까지 한눈에 확인하세요.
근로장려금은 소득이 적은 가구의 근로·사업·종교인 소득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소득이 적다”는 이유만으로 다 받을 수 있는 건 아니고, 소득 기준과 재산 기준, 그리고 가구 형태(맞벌이·홑벌이·단독)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집니다.
👉 지금 내 가구가 신청 대상에 해당되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 근로장려금 신청 전 꼭 알아야 할 핵심
- 소득 요건 충족 – 연간 총소득이 기준 이하일 것
- 재산 요건 충족 – 가구 보유 재산이 2억 원 미만일 것
- 가구 형태 – 단독, 홑벌이, 맞벌이에 따라 한도액·지급액 달라짐
- 신청 기간 – 매년 5월 정기 신청(국세청 홈택스·손택스)
👉 신청 조건에 해당되면 최대 330만 원 이상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가구 유형별 기준 구분
근로장려금은 단독 가구 / 홑벌이 가구 / 맞벌이 가구로 나누어 판단합니다.
구분 | 정의 |
단독 가구 | 배우자·부양자녀·70세 이상 부모 없음 |
홑벌이 가구 | 배우자·자녀·부모 중 1명 이상 부양, 배우자 총급여 3백만 원 미만 |
맞벌이 가구 | 신청자와 배우자 각각 총급여 3백만 원 이상 |
👉 이 구분이 중요한 이유는 소득 상한선과 지급액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 소득 기준 (2025년 기준)
단독 가구
- 총급여액 등: 2,200만 원 미만
- 최대 지급액: 165만 원
홑벌이 가구
- 총급여액 등: 3,200만 원 미만
- 최대 지급액: 300만 원
맞벌이 가구
- 총급여액 등: 3,800만 원 미만
- 최대 지급액: 330만 원
👉 맞벌이 가구는 상한선이 높고 지급액도 더 큽니다.
🔎 재산 기준
근로장려금은 소득만 충족하면 되는 게 아닙니다. 재산 기준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2억 원 미만: 전액 지급 가능
- 2억 원 ~ 2억 4천만 원 미만: 산정액의 50% 지급
- 2억 4천만 원 이상: 지급 불가
재산에는 주택, 토지, 건물, 자동차, 예금, 주식 등이 포함되며, 부채는 차감하지 않습니다.
👉 여기서 많이 실수하는 부분이 ‘부채가 있으니 괜찮다’고 생각하는 경우인데, 부채 차감 불가라 꼭 주의하세요.
📊 가구 유형별 소득·재산 기준 요약표
가구 유형 | 소득 기준 | 재산 기준 | 최대 지급액 |
단독 가구 | 2,200만 원 미만 | 2억 미만 |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 3,200만 원 미만 | 2억 미만 | 300만 원 |
맞벌이 가구 | 3,800만 원 미만 | 2억 미만 | 330만 원 |
👉 아래 정리표로 한눈에 확인 후, 내 상황에 맞는지 꼭 체크하세요!
📝 맞벌이·홑벌이 차이 핵심 정리
홑벌이 가구
- 배우자 소득이 거의 없음
- 총급여 기준 3,200만 원
- 최대 300만 원 지원
맞벌이 가구
- 배우자도 근로·사업소득 있음
- 총급여 기준 3,800만 원
- 최대 330만 원 지원
👉 맞벌이는 상한이 더 넉넉해 유리하지만, 배우자 소득 신고 누락 시 불이익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홈택스/손택스 간단 신청
- 국세청 홈택스 로그인
- ‘근로장려금 신청’ 메뉴 선택
- 본인 정보·소득·재산 확인
- 신청 완료
우편·세무서 방문
- 온라인 신청이 어렵다면 우편이나 세무서를 통해 가능
👉 국세청 홈택스 바로가기 버튼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하세요.
⚠️ 주의해야 할 점
- 소득 신고 누락 → 탈락 사유 1순위
- 재산 과소 신고 → 추후 환수 가능
- 배우자 소득 포함 여부 → 맞벌이·홑벌이 구분 기준
👉 신청 전 반드시 소득금액증명원, 가족관계증명서, 재산내역을 확인해두세요.
📌 요약 정리
- 단독: 2,200만 원 / 최대 165만 원
- 홑벌이: 3,200만 원 / 최대 300만 원
- 맞벌이: 3,800만 원 / 최대 330만 원
- 재산: 2억 원 미만 전액, 2억~2억4천 일부, 2억4천 이상 불가
👉 지금 바로 확인해서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인지 알아보세요!
🌐 공식 사이트
'생활정책지원금 > 정부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로장려금 기한 후 신청 가능할까? – 가산세·불이익 정리 (2025 최신) (0) | 2025.09.03 |
---|---|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탈락 사유 TOP7 – 소득·재산 기준 총정리 (2025년 최신) (0) | 2025.09.02 |
2025년 근로장려금 자격요건 – 소득·재산 기준표 최신 정리 (3) | 2025.09.01 |
건강보험 미환급금 찾기 – 정부24·건보공단 통합 조회법 (2025 최신) (2) | 2025.09.01 |
근로장려금 지급일 늦어질 때 확인법 – 홈택스 조회 & 지연 사유 정리 (3) | 2025.09.01 |